인터넷에 연결된 수많은 컴퓨터들은 ip로 서로를 식별한다. 일반적인 ip는 점과 숫자로 구성된다. 모든 통신의 과정에서 ip로 접근정보를 추려야하는 건 출석부의 학생들을 숫자와 문자가 혼용된 식별자로 구별해야하는 것처럼 난감한 일이다. 난감함을 피하고자 학생들에게 철수, 영희, 민수 등의 이름이 있듯이 컴퓨터에게도 보다 직관적인 이름이 붙여진다. 이를 도메인 혹은 Hostname이라고 한다. 허나 이름을 무엇으로 붙이던 거의 모든 프로토콜은 결국 ip를 이용해 접근공간을 파악한다. 따라서 도메인과 ip는 양방향적으로 수월히 변환되어야하고 이런 변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DNS ( Domain Name System ) 이다. 과거에는 접근이 필요한 모든 host의 정보를 client가 가지고 있었다. ..